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소금(나트륨)과 건강

소금(나트륨)과 건강

소금은 고혈압에 아주 해롭습니다. 짜게 먹으면 동맥이 굳고 두꺼워지면서 혈압이 높아집니다인체 내에 필요 이상의 소금이 들어가면 세포 외부에 소금이 축적이 됩니다. [소금 한 알갱이에는 물 한방울도 같이 있다]고 합니다. 고로 소금 많은 곳에 필요 이상의 물이 고이면  부종이 생기게 됨으로 건강한 정상인은 심장이 정상보다 더 박동을 강하게 하여 소금섞인 물을 체외로  내보내려고 애를 쓰기 때문에 말단 모세혈관들이 이에 저항하면서 혈압이 높아집니다.

 

평상시에도 소금을 적게 먹고 싱겁게 먹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소금을 많이 섭취할 경우 심장병뇌졸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특히고혈압과 심장병이 걸렸을 경우에는 무염식을 하면 혈압이 많이 내리고  심장이 부담을 적게주게 됩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2000 mg입니다.

 


염분이 많이 함유된 6가지 식품   

인스턴트식품

우리 아이들이 가장 많이 좋아하는 인스턴트 식품들에 나트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이들 과자를 먹다보면 '왜 이렇게 짜지?' 할 정도의 과자가 많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단맛이 강했다면 요즘은 짠맛이 강하게 들어있는 과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과자 외에 피자, , 햄버거, 라면 심지어 전혀 짠맛이라고 나지 않은 아이스크림에도 나트륨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습관으로 인스턴트식품을 줄여주는 것이 아이들이 젊고 행복하게 살수 있게 하는 바른 길입니다.

닭고기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의하면 양념치킨 한마리에는 평균나트륨이 3,300mg정도가 들어가 있습니다. 평균나트륨권장량의 1.5배이상이 들어가 있습니다. 요즘 곳곳에 닭으로 만든 닭()강정을 많이 판매합니다. 저의 아이들도 즐겨먹는 것이 바로 꿀강정입니다. 그 외에도 집에서도 즐겨먹는 것이 닭튀김입니다. 요즘 염장이라 하여 주사바늘로 가공시에 각종 양념 등을 주입을 합니다어린아이들을 위해 집에서 닭껎질을 벗기고 소금을 적게 넣어 간을 한 후 튀김을 해서 주는 것이 건강이나 맛에서도 뛰어납니다. 

피자

심장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피자 한 조각에 소금이 760mg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만약 피자 3조각을 먹는다면 하루 권장량 나트륨을 다 섭취한 셈이 됩니다. 요즘 아이들 치고 피자를 싫어하는 아이들이 거의 없습니다. 아마 치킨과 함께 가장 많이 즐겨하는 간식일 것입니다. 피자에 들어가는 각종 치즈, 햄에는 물론 밀가루 반죽에도 나트륨이 들어갑니다. 피자도 집에서 아이들 건강을 위해서 야채가 많이 들어간 피자를 만들어 아이들 간식으로 주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입니다.

빵과 샌드위치

빵 한개에 나트륨이 230mg이 들어갑니다. 빵을 먹을 때 짠 맛이라고는 전혀 느껴지지 안고 단맛만 느껴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렇듯 나트륨함유량이 많습니다. 특히 샌드위치의 경우는 더합니다. 재료인 빵과 고기, 햄버거, 치즈, 참치, 케첩, 버터, 마가린 등에 다량의 소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편육

편육 한접시에 약 1000mg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편육 자체에도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지만 편육을 먹을 경우 주로 짠 김치와 새우젓 등을 이용합니다. 기름을 뺀 편육이 삼겹살보다는 건강에 유익하지만 먹을 때 나트륨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먹을 때 소금이나 젓갈 등과 함께 먹지 않고 야채를 다량으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수프

수프  한접시에는 940mg의 나트륨이 들어가 있습니다. 저희 집에서도 아이들 간식으로 아이들 건강을 생각하여 현미가 들어있는 수프를 홈쇼핑으로 주문을 했었는데 너무나 짠맛이 강하여서 반품을 한 경우가 있습니다. 레스토랑에서 우리가 식사와 함께 먹는 수프에 나트륨함량이 많으므로 외식을 할 경우에는 수프의 섭취를 줄이시기 바랍니다.

 

염분을 적게 섭취하기 위한 조리 및 식사 방법

1. 설탕, 식초, 레몬즙을 적절하게 이용한다.

2. 후추, 고추, 마늘, 생강, 양파, 카레가루로 맛에 변화를 준다

3. 식사 바로 전에 간을 하여 짠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4.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화학조미료를 줄인다.

5. 김치, 장아찌, 젓갈, 소시지, , 치즈, 생선통조림은 피한다.

6. 생 선은 소금을 뿌리지 말고 굽거나 식물성 기름에 튀긴다.

7. 물미역, 파래 조리시에 소금기를 충분히 빼도록 한다.

8. 김은 소금을 뿌리지 말고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발라 굽는다.

9. 된장찌개, 김치찌개를 적게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