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금,적금

우량한 저축은행 선별방법과 예금중도해지시 이윤은?

우량한 저축은행 선별방법과 예금중도해지시 이윤은?

많은 저축은행이 2011년을 기점으로 해서 문을 닫았습니다. 익히 잘 알고 있는 미래저축은행, 솔로몬, 토마토저축은행들입니다. 바로 저축은행의 불법행위 등으로 인한 구조조정이었습니다. 그로 인해서 많은 분들의 뇌리속에 저축은행에 대한 안좋은 선입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돈많은 자산가 분들은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을 많이 찾습니다.
 
즉, 현재와 같은 저금리가 지속되는 시기에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의 예금 및 적금상품이야 말로 좋은 재테크의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구조조정을 통해서 현재 존재하는 저축은행들은 어느정도의 자산의 건전성이 보장이 되고 있고 기업경영이 투명하게 유지되고 있기때문에 이를 잘만 이용하면 좋은 수익을 거둘수가 있습니다.

☞ 금융지주회사의 저축은행 인수 : 우리은행, 신한, 하나, KB, BS 등 저축은행 인수
☞ 저축은행 대출금리의 저금리 시대 : 기존의 20~30%대의 금리가 10% 중반의 중금리 상품의 출시
☞ 저축은행의 예금보장한도 : 5,000만원 이내

◆ 우량저축은행은 선별하는 방법

하나, 기본자기자본 비율을 고려한다.
기존에 BIS비율이 은행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이었습니다.
▶BIS비율 = (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
* BIS비율이 높다는 것은 위험가중자산에 비해서 자기자본이 높기 때문에 건전성이 높다는 의미임 
* 자기자본 비율(Tier 1) = 최소 5%를 넘어야 건전한 은행으로 취급할 수 있음(후순위체를 뺀 비율)

둘, 요주의 대출이 20%를 넘을 경우 피한다
저축은행의 대출구분(연체기간 3개월 미만 : 정상대출, 3개월~6개월 : 요주의 대출, 6개월 이상 : 고정이하 대출)

셋, 대출비중을 고려한다
저축은행의 대출 중 기업대출과 가계대출로 구분이 되는데 가계대출이 높은 저축은행을 선택한다

넷, 유동성비율을 고려한다 
즉, 저축은행에서 부채상환요구시에 소유자산으로 잘 대응할 수 있는지를 고려한데 최소 100% 초과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 꾸준히 이익을 내는지를 고려한다.


♣ 튼실한 저축은행을 지혜롭게 고르는 5가지 항목

1. 꾸준한 이익발생 여부
2. 유동성비율
3. 기업대출과 가계대출의 비중
4. 부실가능대출비율(요주의 대출 20% 이내)
5. 기본 자기자본 비율(후순위체를 뺀)
◆ 저축은행 예금 중도해지시의 이윤은?

정기예금금리 3~4%대의 상품을 중도해지시에는 1~2%정도의 이윤만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5천만원을 상회하게 된다면 5천만원을 넘는 금액을 해약을 하고 천만원을 그대로 두게 되면 적정 이윤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 저축은행의 파산시는?

저축은행이 파산하게 되면 본 저축은행소유의 모든 예금이 청산이 되면서 여금보험기금이 지급이 됩니다. 원리금 합계 5천만원 미만 예금에 대해서는 (원금 + 시준은행 평균이자율[2%대])가 지급이 됩니다. 5천만원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만약, 급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2,000만원 한도내에서 예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 예금보험공사와 제휴한 금융회사에서 예금액의 70~9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 저축은행 파산시 대출금은?

저축은행 파산시에도 대출금에 대한 상환을 해야 합니다. 또한 만기연장 등도 가능합니다. 만약 예금과 대출상품이 동시에 있다면 서로 상계처리하게 됩니다. 

◆ 후순위채에 대한 보상은?

후순위채란 말은 산순위채권에 비해서 보장 순위가 밀린다는 뜻이며, 보장받지 못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