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지방의 과잉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 예방법

지방의 과잉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 예방법
 

세계에서 기름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인 미국사람들의 심장병 발생율이  세계 1위를 차지합니다기름은 적은양으로 많은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힘을 많이 써야 하는 운동 선수나, 중 노동자성장기 청소년에게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서 좋으나, 너무 많이 먹게 되면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지만 과잉섭취시에 가장 많은 질병과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입니다. 

생체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영양이 공급되고, 공급된 영양소가 생리 법칙에 따라 피와 살을 만들고 힘과 열을 낸 다음에 부산물로 생긴 찌꺼기를 몸 밖으로 내어 보내야 합니다이런 과정을 맡아서 움직여 주는 기관은 심장과 동맥, 정맥, 이를 통틀어 심혈관계, 혹은 순환기계라고 일컬으며 이 기관이 병들게 되면 신체는 치명적입니다.

 

지방과 심혈관계 질환

지방은 고열량식품이기 때문에 많이 먹어도 배가 부르지 않으므로 과식하기가 쉽고, 과식의결과는 비만증, 비만의 결과는 동맥경화증, 심장병이 될 수 있고, 과잉섭취한 지방은 혈관벽에 축적되어 혈관을 두껍게 하고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되여 동맥을 경화시키고 혈압을 높이며 심장을 병들게 합니다.

 

지방과 암

암세포의 경우 세포조직에 산소가 부족할 경우 더 잘 자란다고 하는데 당질과 단백질은 자체내에 산소원자가 들어 있으나, 지방은 자체내에 산소가 없기 때문에 혈중에 지방이 많으면 세포조직내의 산소공급이 차단이 됩니다. 지방은 모세혈관의 덩어리를 만들어 막히게 하며, 이렇게 혈구로 얽힌 덩어리는 지방섭취와 음주로 더 촉진이 됩니다.  

 

심혈관계질환 경로

1. 과식 - 비만증 - 심장의 능력 미달 - 심장병, 고혈

2. 지방식(영양불균형) - 지방축적 -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증 - 심장병, 고혈압

3. 운동부족 - 심장박동저하 - 말초혈관 저항증가 - 고혈압

4. 스트레스 - 고혈압

위와 같이 다양한 이유에 의해서 심혈관계질환이 발생하지만 그중에 과식과 지방섭취가 가장 중요한 인자입니다.

 

심혈관계질환(고혈압)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10가지 원칙   

  • 지방(튀김, 버터, 마가린, 치즈, 마요네즈)섭취를 줄인다

  • 과식과 간식(과자, 사탕, 아이스크림, 케익, 파이 등)을 하지 않는다

  • 지방섭취를 많이 하였을 경우 지방을 태우는 운동을 한다(헤쓰 등)

  • 무조건 많이 움직인다(앉아 있기보다  서있기서있기 보다  움직이기, 농사, 청소, 가사, 달리기등 )

  • 짜게먹지 않는다

  • 정제된 가공식품, 흡연, 음주를 절제한다

  • 저녁을 늦게먹지 않는다

  • 하루 두끼식사만 한다

  • 당근, 오이, 양배추, 양상치, 셀러리를 많이 씹어서 먹는다

  • 주식은 현미잡곡밥, 통밀가루 음식, 콩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