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기준치(절대수익률)이상의 초과수익 발생시만 이익 분배하는 성과보수펀드 장점, 기준치 이내 수익시 50%보수 할인
성과보수펀드가 운영중입니다. 성과보수펀드는 정률펀드에 비해서 운용보수가 50%정도 저렴합니다. 이에반해 성과(수익)이 일정기준치 이상 발생시에는 성과보수를 펀드사에서 일정부분 가져갑니다. 만약 일정기준치의 성과가 나지 않으면 성과보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률펀드에 비해서 운용보수가 50%정도 적게 발생하게 됩니다.
펀드사의 경우 해당 펀드가 수익을 많이 내면 낼수록 좋습니다. 일정기준치 이상의 초과수익금에 대한 일정비율만큼을 수익으로 취하기 때문입니다.
펀드의 투자비용
펀드 투자시 수익을 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아래와 같이 투자비용(투자자가 부담해야 함)이 발생하게됩니다. 펀드가 손실일 경우 (펀드손실 + 보수율 + 판매수수료율 + 매매, 중개수수료율)만큼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10%이상의 펀드수익이 날 경우(1년 기준) 이러한 모든 비용을 더한 값보다 수익값이 더 많습니다.
성과보수펀드란?
펀드를 전액 환매하는 시점에서 일정기준치 이상의 초과수익이 발생할 경우 약정된 성과보수율 만큼 성과보수가 부과되지만 초과수익이 없을 경우에는 성과보수가 부과되지 않고 운용보수만 일반펀드에 비해 50%정도만 부담하면 되는 펀드, 펀드사는 초과수익을 거두기 위해서 더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이에 따라 초과수익 발생가능성이 큼
펀드 환매시에 절대수익률(초과수익률 - 기준수익률)에 따른 운용보수 및 성과보수 부과기준
성과보수 펀드 투자시에 유의사항
펀드의 수익률에 연동하여 운용보수가 결정되는 펀드를 성과연동 운용보수 펀드(통칭 성과보수 펀드)라고 합니다. 이러한 펀드의 경우 ‘성과보수’라는 단어가 펀드명에 기록이 되어 있어서 구분가능합니다. 성과보수 적용 펀드는 수익률이 목표수익률보다 낮을 경우에는 유사한 정률보수 펀드에 비해 약 50%정도 저렴한 기본보수(운용보수)만 납부하면 되고 펀드 성과가 일정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정률보수 펀드보다 더 높은 비용을 부담합니다.
성과보수 펀드는 투자금액의 일부만 환매하는 것은 불가하며, 전액환매해서 수익률을 결정해야 합니다. 즉, 운용보수만 성과와 연동되고 판매보수는 일반 펀드와 동일하게 정률로 부과가 됩니다. 성과보수펀드의 투자설명서에는 「환매시 기준가격에 따른 성과보수 부담 사례」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본인의 목표수익률, 투자기간에 적합한 펀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성과보수펀드 수익률 계산 방법
절대(기준)수익률 10%, 성과보수율 20%인 성과보수 공모펀드에 500만원 가입했을 때, (이익분배금 0원, 환매수수료 0원, 후취판매수수료율 0.15%으로 가정)
위와 같은 기준에 의해서 총 수익이 491,000이 발생했으며, 이에 대한 10%인 49,100원을 성과보수로 지급하기 때문에 투자자가 받는 수익은 441,900원입니다. 즉, 10%는 펀드회사에 성과보수로 납부를 합니다. 투자자나 펀드사 공히 수익률이 높아야 이익입니다.
수익률 | 성과보수부과여부 | 계산방법 | |
환매금액 600만원(수익률 20%) | ○ | 성과보수 | 49,100원(초과수익금액 X 10%) |
초과수익금액 | 600만원 - 550만원 - 9,000원 = 491,000원 | ||
환매금액 140만원(수익률 8%) | X | * 절대(기준)수익률 5%를 넘지 않았으므로 성과보수 부과 안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