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s office TIP/엑셀함수

엑셀 함수37(COUNT, COUNTA, COUNTBLANK함수로 셀의 갯수구하기)

엑셀 함수37(COUNT, COUNTA, COUNTBLANK함수로 셀의 갯수구하기)

엑셀(EXCEL) 함수에서 COUNT함수는 3개로 구분이 됩니다. COUNT함수,COUNTA함수,COUNTBLANK함수입니다. 각각의 사용용도가 비슷하면서 다릅니다. COUNT함수의 경우 숫자,,COUNTA함수의 경우는 문자 ,COUNTBLANK함수경우 비어있는 셀의 숫자를 세는데 사용합니다.

COUNT와 관련된 함수사용하기

아래의 엑셀의 데이터표의 데이터는 숫자와 특수문자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각 시험에 응시자수, 합격자수, 불합격자수를 구하고자 합니다. 

COUNT함수사용하기

COUNT함수를 이용해서 응시자수를 구하고자 합니다. 응시점수가 각각 숫자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COUNT함수를 사용합니다. 함수인수대화상자에서 인수값을 삽입하면 됩니다. Value 1의 값에 셀 범위(C3:C9)의 범위를 지정후 확인을 하면 됩니다. 즉, 이 셀 범위에서 숫자로 되어 있는 셀의 갯수를 구하라는 의미입니다. 

COUNT함수결과값

아래와 같이 응시자수 6명이 나와 있습니다. 빈셀을 제외하고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갯수입니다. 

COUNT함수로 문자열의 숫자 구하기 : 계산 오류 발생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하지만 이번에 참고하는 Value값은 합격여부가 나타나 있는 별이 포함되어 있는 셀입니다. 

COUNT함수로 문자열의 숫자 구하기 

COUNT함수로 문자열의 갯수를 구하고자 하자 결과가 0으로 나타납니다. 즉, 문자, 기호로 되어 있는 것은 숫자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0이 나옵니다. 이 경우에는 COUNTA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COUNTA함수로 문자열의 숫자 구하기

하는 방법은 동일하며 함수만 COUNTA함수로 바뀌었습니다. 

COUNTA함수 사용결과

아래와 같이 별표가 되어 있는 셀의 숫자는 4개입니다. 즉, 합격자수가 4명입니다.

COUNTABLANK 함수로 공백셀 숫자 구하기 

하는 방법은 위와 동일하며 COUNTABLANK함수를 사용해서 구합니다. 빈셀의 갯수를 구합니다. 

COUNTABLANK 함수로 불합격자수 결과 

불합격자수는 3명입니다. 즉, 빈셀의 갯수가 3개라는 의이입니다. 

숫자, 문자 사용가능한 COUNTABLANK 함수

 COUNTABLANK 함수는 참조셀이 문자로 되어 있거나 숫자로 되어 있을 때 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에  COUNTABLANK 함수를 사용하면 1이라는 값이 나타납니다. 즉, 숫자로 되어 있는 셀에서도 빈셀만 찾기 때문에 문자, 숫자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