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사회보험/국민연금

노령연금수급중 소득활동 종사시 연기연금의 장점, 증액을 위한 연기연금 유리 또는 불리? 실제연기로인한 손익은?

기쁨가득한 2018. 9. 2. 06:00

노령연금수급중 소득활동 종사시 연기연금의 장점, 증액을 위한 연기연금 유리 또는 불리? 실제연기로인한 손익은? 

매년 국민연금 연기연금신청자수가 2만여명정도 됩니다. 매월 평균 1,600명이 연기연금 신청을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연기연금을 신청하는 경우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노령연금 수급 중 소득활동 종사 

첫번째로는 60세 이후에 소득활동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연금이 줄어듭니다. 60세 이후의 소득금액이 기준치(전체가입자 3년간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A] = 2,176,483)을 초과하는 소득이 발생할 경우 최대 50만원까지 연금이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기존에 노령연금을 70만원 받던 분이 소득활동에 종사하면서 소득이 620만원정도 받는다면 국민연금 노령연금액은 50만원이 감액이 됩니다. , 70만원-20만원으로 50만원만 수급하게 됩니다. 하지만 연기연금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동안에는 노령연금을 수급하지 않기 때문에 삭감되는 것을 피할 수가 있습니다

둘째, 연기신청으로 증액을 하기 위함 

연기신청을 하는 경우 이자가 더해집니다. 1년마다 연기시에 7.2%씩 노령연금액에 이자가 더해집니다. 3년연기시에 21.6%, 5년연기시에 36%까지 증액이 됩니다. 연기를 통해서 원래 받고자 했던 금액보다 월 노령연금액이 많아집니다. 하지만 해당기간동안 연금을 받지 않는 것과 비교를 해봐야 합니다

 

노령연금을 안받고 연기했을 경우 이익시점은? 

국회요구자료에 의한 국민연금공단에서 답변한 자료에 의하면 61세에 노령연금수급대상자가 이를 받지 않고 연기를 했을 경우에 해당기간만큼 받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물론 나중에 받으면서 이자를 더해서 받지만 이 둘을 가지고 비교를 해서 유,불리를 따져봐야 합니다. 그렇게 비교한 결과 연기를 할 경우에는 연기시점에서 13년이 되어서야 이익으로 돌아선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61세에 받을 수 있는 분이 3년을 연기하여 64세에 수급을 한다면 아래의 표에서 처럼 받지 못한 기간의 노령연금액보다 더 많이 받는 시점이 77세가 되어서야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게 사실이라면(국민연금공단의 답변이기에 사실임) 연기를 전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77세에서나 +로 돌아서는데 그때까지 생존하면 다행이지만 그 전에 사망하게 되면 무조건 손실입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공단에서는 현재까지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알려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출생연도별 노령연금 수급나이, 연기가능 나이 연기연금 수급나이

구분

노령연금 

연기연금

연기가능

수급나이

1952년 이전출생

60

65세까지

66~

1953~56년생

61

66세까지

67~

1957~60년생

62

67세까지

68~

1961~64년생

63

68세까지

69~

1965~68년생

64

69세까지

70~

1969년 이후출생

65

70세까지

71~

 

국민연금 보험료에 따른 노령연금액 

하단은 기준소득월액값 220만원인 경우 보험료는 198,000원입니다. 20년 가입자가 61세에 받을 수 있는 노령연금은 455,700원입니다

 

5년 연기시에 연기전 노령연금액과 연기 후 노령연금액 비교 

5년을 연기하여 66세에 노령연금을 수급시에는 61~65세까지 연기를 통해서 받지 못한 금액이 약 2,700여만원이 됩니다. 연기노령연금으로 66세에 수급했을 경우 원래는 매월 546,8400원을 수급하지만 5년연기로 이자 36%가 더해져서 7,437,024원을 수급하게 됩니다. 이렇게 받을 경우 연기로인해 받지 못한 2,700만원까지는 79세가 되어서야 채울수가 있습니다. 79세 이후부터 생존시에는 연기연금이 무조건 이익입니다. 남자의 경우 평균수명이 79세가 되지 않는 시점에서 손실을 당할 우려가 더 높다할 수 있습니다 

나이

노령연금 수령

연기연금 수령

차액

손익분기점

61

5,468,400

0

(5468400)

 

62

5,468,400

0

(5468400)

 

63

5,468,400

0

(5468400)

 

64

5,468,400

0

(5468400)

 

65

5,468,400

0

(5468400)

- 27,342,000

66

5,468,400

  7,437,024

 1,968,624

   1,968,624

67

5,468,400

  7,437,024

 1,968,624

   3,937,248

68

5,468,400

  7,437,024

 1,968,624

   5,905,872

69

5,468,400

  7,437,024

 1,968,624

   7,874,496

70

5,468,400

  7,437,024

 1,968,624

   9,843,120

71

5,468,400

  7,437,024

 1,968,624

  11,811,744

72

5,468,400

  7,437,024

 1,968,624

  13,780,368

73

5,468,400

  7,437,024

 1,968,624

  15,748,992

74

5,468,400

  7,437,024

 1,968,624

  17,717,616

75

5,468,400

  7,437,024

 1,968,624

  19,686,240

76

5,468,400

  7,437,024

 1,968,624

  21,654,864

77

5,468,400

  7,437,024

 1,968,624

  23,623,488

78

5,468,400

  7,437,024

 1,968,624

  25,592,112

79

5,468,400

  7,437,024

 1,968,624

  27,560,736

80(사망)

5,468,400

7,437,024

 1,968,624

  29,529,360

109,368,000

111,55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