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펀드

펀드유형(투자신탁) 국공채(채권형)펀드 6개월, 1년 투자수익률, 펀드환매수수료 부과기준, 재간접펀드 추가비용유의

기쁨가득한 2018. 8. 14. 07:09

펀드유형(투자신탁) 국공채(채권형)펀드 6개월, 1년 투자수익률, 펀드환매수수료 부과기준, 재간접펀드 추가비용유의 

아래는 금융투자협회를 통해서 검색비교한 국공채채권형 펀드의 6개월, 1년 수익률입니다. 기타 다른 상품도 있지만 일부분만 정리했습니다. 1년 수익률이 최대 1.18%~최소 마이너스 5.3%까지 있습니다. 채권형펀드란 주식 0%에 채권 100%인 펀드입니다. 요즘 주식시장이 좋다보니 고위험군인 주식혼합형의 경우 1년 수익률이 높게는 수십%에 이르고 있습니다. 손실 종목들이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 1월에 국공채펀드(채권형 100%)에 투자한 사람과 주식형 100%에 투자한 분의 수익률을 비교시 1,000만원투자를 했다면 주식형펀드의 경우 10%만 잡아도 100만원수익을 냈으며, 펀드의 경우 10만원정도 수익을 냈습니다. 물론 주식이 하락을 했다면 주식은 손실이 100만원일 수 있고 펀드는 손실이 10만원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금(자산)을 많이 투자할 경우 채권형, 조금투자할 경우 위험부담이 있지만 수익이큰 주식형펀드에 투자를 합니다. 올해같은 장세에서는 당연히 주식형펀드에 투자를 했어야 했습니다 

펀드명

위험등급

수익률 및 순위

6개월

1

%

%

신한BNPPTops국공채중기증권투자신탁 1[채권]

매우낮은위험(UH)

0.39

1.18

BNK튼튼단기국공채증권투자신탁 1(채권)

매우낮은위험(UH)

0.45

1.17

슈로더코리아증권모투자신탁(채권-재간접형)

매우낮은위험(UH)

0.48

0.99

미래에셋변액보험어드밴티지증권투자신탁 1(채권)

낮은위험(UH)

-0.01

0.73

베어링국공채증권모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19

0.20

동양퇴직연금인덱스40증권자투자신탁 1(채권혼합)ClassC

낮은위험(UH)

0.00

0.00

KBKBSTAR단기국공채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

매우낮은위험(UH)

0.00

0.00

삼성KODEX국고채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55

-0.42

대신밸런스연금국공채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42

-0.43

IBK SaveAsset국공채증권자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48

-0.54

이스트스프링퇴직연금코리아증권모투자신탁 1[채권]

낮은위험(UH)

-0.40

-0.72

맥쿼리연금국공채증권모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59

-1.72

DB국공채증권모투자신탁[채권]

낮은위험(UH)

-0.58

-2.48

NH-Amundi Allset 국채10년 인덱스 증권자[채권]ClassC-P2(퇴직연금)

보통위험(UH)

-2.24

-5.30

 

펀드환매수수료 부과기준

 

 

환매수수료 부과기준 등 확인 후 가입 

많은 부분의  펀드는 환매수수료부과는 가입후 1~3개월 이내에 환매할 경우 부과가 됩니다. 일부는 10년동안 환매수수료가 부과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10년 이내에 환매시에 그 기간을 기준으로 환매수수료를 부과를 합니다. 상당히 많은 금액의 환매수수료를 부담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펀드 가입시점부터 투자예상기간과 환매수수료의 부과기간을 확인하고 난 후에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단기 투자자라면 3~10년기준 등의  환매수수료를 부과하는 펀드는 피해야 합니다. 이을라 환매수수료를 부과할 때 이익금 기준으로 부과하는 펀드가 있고, 전체 환매금액 기준으로 부과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환매금액을 기준으로 환매수수료를 산정한다면 실제는 더 큰 환매수수료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투자 전에 펀드사의 환매수수료의 부과기준을 꼼꼼히 살핀 후에 투자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재간접펀드는 추가비용이 발생함에 유의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는 일반펀드와 달리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발생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주식채권 등에 직접 투자하는 일반펀드의 투자비용은 총보수·비용(판매비용 + 운용비용 + 수탁사무관리보수 + 기타비용)으로 결정되지만 재간접 펀드는 펀드가 편입하는 투자대상 펀드의 비용이 추가됩니다. 따라서 재간접펀드는 피투자펀드 비용을 합산한 합성 총보수·비용으로 비교해야 합니다. 합성 총보수·비용은 투자설명서의 보수 및 수수료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펀드의 보수율(총보수비용) 

 

재간접펀드의 보수율(총보수비용) 

재간접펀드의 경우 아래와 같이 운용비용, 판매비용, 수탁비용, 사무관리비용, 기타비용외에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재간접펀드의 (보수율=총보수) 비용

운용사

운용비용

판매비용

수탁비용

사무관리비용

기타비용

추가비용

주식형펀드(A)

0.648

0.900

0.030

0.022

0.000

보수및수수료항목에서 확인

주식형펀드(B)

0.700

0.800

0.030

0.020

0.000